안녕하세요, 철강 수출입 전문 업체 스틸토피아입니다! 2025년 새해 첫째 주의 LME 시세를 아래와 같이 알려드립니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날짜 |
품목 (USD/ton) | |||||
구리 (Cu) |
알루미늄 (Al) |
아연 (Zn) |
납 (Pb) |
니켈 (Ni) |
주석 (Sn) | |
2025. 01. 03 |
8,701.0 |
2,475.0 |
2,864.5 |
1,898.0 |
14,770.0 |
28,625.0 |
2025. 01. 02 |
8,685.5 |
2,536.0 |
2,926.5 |
1,915.0 |
15,010.0 |
28,225.0 |
2024. 12. 31 |
8,706.0 |
2,516.5 |
2,974.0 |
1,921.5 |
15,100.0 |
28,900.0 |
2024. 12. 30 |
8,833.0 |
2,529.5 |
3,026.0 |
1,928.0 |
15,330.0 |
28,900.0 |
2024.12.30~2025.01.03 LME 시세 변동 이유 분석
- 연말연시 휴가로 인한 거래량 감소
연말연휴와 신년 초는 금융시장에서 전통적으로 거래량이 줄어드는 시기입니다. 거래 참여자가 적어지면서 시세 변동성이 낮아지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습니다.
- 환율 변화
달러 강세나 약세는 비철금속 시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기간에는 달러화 움직임에 따라 금속들의 수요와 공급 심리가 달라졌습니다.
- 중국 경제 상황
세계 최대 금속 소비국인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 또는 경기 부양 기대가 시세 변화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신년 초에 중국의 정책 방향에 대한 관망 심리가 금속 거래에 반영되었습니다.
- 거시경제 환경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정책,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 주요국의 제조업 지표 등이 시장 참여자들의 투자 심리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차익 실현 및 포지셔닝
일부 투자자들이 연말을 맞아 포지션 정리와 차익 실현에 나서면서 금속 시장이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종합적으로, 해당 기간 동안 LME 시세는 주로 계절적 요인과 거시경제 흐름에 의해 큰 변동 없이 유지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