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ME 니켈 구리 알루미늄 시세표 2025년 1월 13~17일
안녕하세요, 철강 수출입 전문 업체 스틸토피아입니다.
2025년 1월 13일 ~ 17일의 LME 국제 시세표를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2025.01.13 ~ 17일 LME 국제 비철금속 시세
날짜 |
품목 (USD/ton) | |||||
구리 (Cu) |
알루미늄 (Al) |
아연 (Zn) |
납 (Pb) |
니켈 (Ni) |
주석 (Sn) | |
2025. 01. 17 |
9,132.0 |
2,658.5 |
2,884.0 |
1,936.0 |
15,840.0 |
29,400.0 |
2025. 01. 16 |
9,135.0 |
2,628.0 |
2,824.0 |
1,930.0 |
15,665.0 |
29,550.0 |
2025. 01. 15 |
9,020.0 |
2,562.0 |
2,792.0 |
1,907.0 |
15,630.0 |
29,125.0 |
2025. 01. 14 |
9,016.0 |
2,554.5 |
2,831.0 |
1,914.5 |
15,600.0 |
29,550.0 |
2025. 01. 13 |
8,980.0 |
2,573.0 |
2,839.0 |
1,926.0 |
15,560.0 |
29,605.0 |
시세 변동 원인 종합 분석
1월 13일부터 17일까지의 LME 비철금속 시장은 중국 경기 회복 기대, 공급망 이슈, 글로벌 정책 변화, 그리고 달러화 움직임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일부 금속은 수요 증가와 재고 감소로 상승했으며, 일부는 공급 증가와 경기 불확실성으로 인해 하락했습니다.
1. 주요 변동 요인 분석
- 중국의 경제 회복 기대감과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 계획이 비철금속 수요를 증가시켰습니다.
- 특히, 구리를 비롯한 산업용 금속의 수요가 증가하며 시장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중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개선이 금속 시장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가 시장에 영향을 주었으나, 달러 강세로 인해 일부 금속의 가격 상승이 제한되었습니다.
- 미국의 경기 둔화 우려와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습니다.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및 EU의 러시아산 알루미늄 수입 금지 검토가 공급망에 대한 우려를 증가시켰습니다.
- 일부 주요 생산국(인도네시아, 미얀마)의 공급 차질이 가격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전기차 및 재생에너지 산업의 성장세가 지속되면서 니켈, 알루미늄 등의 금속에 대한 견조한 수요가 유지되었습니다.
- 반면, 건설 및 제조업 분야의 둔화로 일부 금속의 수요는 정체되었습니다.
2. 시장 동향 요약
상승 요인:
- 중국의 경기 회복 기대 및 인프라 투자 확대
- 특정 금속(구리, 니켈)의 재고 감소
- 전기차, AI 등 신산업 수요 증가
하락 요인:
- 미국 달러 강세로 인한 원자재 투자 감소
- 일부 금속의 공급 증가 및 생산 확대 전망
- 경기 둔화 우려로 인한 투자 심리 위축
3. 향후 전망 및 시사점
LME 시장은 중국의 경기 부양책 실행 여부, 미국의 금리 정책,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 여부에 따라 향후 방향이 결정될 것입니다.
- 중국의 경기 회복이 본격화되면 비철금속 수요는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미국의 금리 인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달러 약세와 함께 금속 가격이 상승할 여지가 있습니다.
- 지정학적 리스크와 공급망 이슈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