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LTOPIA

커뮤니티

LME 가격

구리 알루미늄 니켈 시세 25.01.20~24

작성자
STEELTOPIA
작성일
25-01-31

구리 알루미늄 니켈 시세 25.01.20~24



안녕하세요, 철강 수출입 전문 업체 스틸토피아입니다!


2025년 1월 20일 ~ 24일 LME 국제시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날짜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

(Al)

아연

(Zn)

(Pb)

니켈

(Ni)

주석

(Sn)

2025. 01. 24

9,218.0

2,640.0

2,821.5

1,926.0

15,470.0

30,125.0

2025. 01. 23

9,056.0

2,605.5

2,818.0

1,923.0

15,510.0

29,850.0

2025. 01. 22

9,123.0

2,611.0

2,851.5

1,943.0

15,580.0

30,035.0

2025. 01. 21

9,067.0

2,635.5

2,887.0

1,915.0

15,850.0

30,200.0

2025. 01. 20

9,043.5

2,675.0

2,891.0

1,948.5

15,680.0

29,350.0




LME 시세 변동 원인 분석 

1.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


세계 경제 성장률이 예상보다 낮아지면서 비철금속 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중국의 부동산 시장 침체와 미국, 유럽의 산업 활동 감소로 인해 구리, 니켈 등의 수요가 감소하였습니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비철금속 소비국으로, 부동산 시장의 침체는 건설 및 전자 산업에서의 금속 수요 감소로 이어졌습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제조업 지표의 약화로 산업 활동이 둔화되어 금속 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습니다.


2. 공급 측면의 변화


일부 금속의 경우 공급망에 변화가 있었습니다. 아연은 원자재 부족으로 인해 가격이 상승했으나, 이후 공급 회복 전망으로 가격이 하락세로 전환되었습니다. 이는 주요 생산국의 생산 재개와 물류 개선에 따른 것입니다. 반면, 납은 재고 증가로 인해 가격이 하락하였습니다. 이는 수요 부진과 함께 생산이 지속되면서 재고가 누적된 결과로 해석됩니다.


3. 정책 및 무역 환경 변화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관세 부과 가능성은 글로벌 무역량 감소로 이어져 비철금속 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은 양국의 산업 생산에 영향을 주어 금속 수요를 감소시켰습니다. 또한, 유럽연합(EU)의 환경 규제 강화로 일부 금속의 생산 비용이 증가하여 가격 변동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4. 에너지 가격 변동


에너지 가격의 변동은 비철금속 생산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최근 에너지 가격의 상승은 생산 비용을 증가시켜 일부 금속의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였습니다. 특히, 전력 의존도가 높은 알루미늄 생산의 경우 에너지 비용 상승이 생산 비용에 큰 영향을 주어 가격 상승을 유발하였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2025년 1월 20일부터 24일까지 비철금속 가격의 변동을 야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