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LTOPIA

커뮤니티

LME 가격

25년1월마지막주 LME 시세 변동

작성자
STEELTOPIA
작성일
25-02-03

안녕하세요, 철강 수출입 전문 스틸토피아입니다.


2025년 1월 27일 ~ 31일 LME 비철금속 시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날짜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

(Al)

아연

(Zn)

(Pb)

니켈

(Ni)

주석

(Sn)

2025. 01. 31

8,949.5

2,598.0

2,711.0

1,920.0

15,040.0

29,885.0

2025. 01. 30

8,975.0

2,617.0

2,756.0

1,935.0

15,195.0

30,060.0

2025. 01. 29

8,881.0

2,590.5

2,720.5

1,931.5

15,230.0

29,775.0

2025. 01. 28

8,890.5

2,572.0

2,746.5

1,897.0

15,240.0

29,620.0

2025. 01. 27

9,051.0

2,616.5

2,791.0

1,913.0

15,505.0

30,000.0




 2025.01.27~31 LME 시세 변동 이유 분석

2025년 1월 27일부터 31일까지 LME 비철금속 시세는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구리는 중국의 부동산 시장 침체와 미국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인한 글로벌 무역 둔화 우려 속에서 약 1.1% 하락했습니다. 특히 중국의 건설·전자 산업에서의 수요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알루미늄은 약 0.7% 하락했는데, 이는 에너지 가격 안정화로 인해 생산 비용 부담이 완화되었기 때문입니다. 알루미늄은 전력 소비가 많은 금속이기 때문에 에너지 비용이 낮아지면 공급이 원활해지고, 이에 따라 가격이 하락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아연은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로 인한 수요 감소와 주요 생산국의 공급 회복 전망이 맞물리면서 약 2.9% 하락했습니다. 중국과 유럽의 제조업 활동 둔화가 수요를 감소시킨 가운데, 일부 국가에서 생산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가격 하락 압력이 커졌습니다.


반면, 은 자동차 배터리 수요 증가와 일부 지역의 공급 차질로 인해 약 0.4% 상승했습니다. 겨울철 배터리 교체 수요 증가가 영향을 미쳤고, 일부 생산 차질로 인해 공급이 제한되면서 가격이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니켈은 공급 과잉과 스테인리스강 수요 둔화 우려로 인해 약 3.0% 하락했습니다.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의 니켈 생산이 증가하면서 공급이 늘어난 반면, 주요 소비처인 스테인리스강 업계의 생산 둔화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면서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주석은 전자제품 수요 둔화와 생산 안정화로 인해 약 0.4% 하락했습니다. 반도체 산업의 성장 둔화와 일부 전자제품 시장의 위축이 주석 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주요 생산국의 공급이 안정되면서 가격이 소폭 하락했습니다.


전반적으로 글로벌 경기 둔화, 공급 증가, 주요 산업의 수요 감소 등이 1월 27일부터 31일까지 비철금속 가격 변동을 주도한 주요 요인으로 분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