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ME시세분석 25.02.17~21 구리 니켈 알루미늄
안녕하세요, 철강 수출입 전문 업체 스틸토피아입니다!
지난주 LME시세를 아래와 같이 알려드립니다.
날짜 |
품목 (USD/ton) | |||||
구리 (Cu) |
알루미늄 (Al) |
아연 (Zn) |
납 (Pb) |
니켈 (Ni) |
주석 (Sn) | |
2025. 02. 21 |
9,494.0 |
2,702.0 |
2,859.0 |
1,956.0 |
15,300.0 |
33,450.0 |
2025. 02. 20 |
9,514.5 |
2,720.0 |
2,880.0 |
1,970.5 |
15,405.0 |
33,055.0 |
2025. 02. 19 |
9,433.0 |
2,709.5 |
2,851.0 |
1,940.0 |
15,130.0 |
32,625.0 |
2025. 02. 18 |
9,295.0 |
2,661.0 |
2,836.0 |
1,952.0 |
15,135.0 |
32,850.0 |
2025. 02. 17 |
9,291.0 |
2,660.0 |
2,803.0 |
1,967.0 |
15,175.0 |
32,485.0 |
2025년 2월 17일부터 21일까지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비철금속 가격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동을 보였습니다.
1. 글로벌 경제 지표와 수요 전망
중국의 1월 산업생산 지표가 예상보다 부진하게 발표되면서, 세계 최대 금속 소비국인 중국의 수요 둔화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이는 비철금속 가격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습니다. 또한,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되어 금속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2. 공급 측면의 이슈
칠레와 페루 등 주요 생산국에서의 광산 노동자 파업과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구리와 아연 등의 공급 차질 우려가 부각되었습니다. 이러한 공급 불안 요인은 일부 금속의 가격 상승을 견인하였습니다.
3. 달러화 가치 변동
미국 달러화의 강세는 비철금속 가격에 하락 압력을 가했습니다. 달러화로 거래되는 원자재 특성상, 달러 강세는 비달러권 국가의 구매력을 감소시켜 수요를 위축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4. 재고 수준 변화
LME의 비철금속 재고 수준이 일부 금속에서 증가세를 보이면서, 공급 과잉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특히 알루미늄과 니켈의 재고 증가는 해당 금속의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였습니다.
5. 지정학적 리스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긴장 고조로 인해 니켈과 알루미늄 등 러시아 생산 비중이 높은 금속의 공급 불안이 대두되었습니다. 이는 해당 금속의 가격 변동성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종합적으로, 2025년 2월 17일부터 21일까지의 LME 비철금속 시세 변동은 수요 전망 악화, 공급 측면의 불안, 달러화 가치 변동, 재고 수준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