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LTOPIA

커뮤니티

LME 가격

LME 구리 알루미늄 니켈 시세 25년 3월 둘째주 분석

작성자
STEELTOPIA
작성일
25-03-17

안녕하세요, 철강 수출입 전문 업체 스틸토피아입니다!

2025년 3월 10일-14일의 LME 국제비철금속 시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날짜

품목 (USD/ton)

구리

(Cu)

알루미늄

(Al)

아연

(Zn)

(Pb)

니켈

(Ni)

주석

(Sn)

2025. 03. 14

9,759.0

2,713.0

2,966.0

2,067.0

16,450.0

35,635.0

2025. 03. 13

9,702.5

2,694.0

2,906.0

2,050.0

16,230.0

33,400.0

2025. 03. 12

9,766.0

2,737.0

2,936.0

2,062.0

16,460.0

33,425.0

2025. 03. 11

9,628.0

2,725.0

2,875.0

2,029.0

16,295.0

32,825.0

2025. 03. 10

9,547.0

2,716.0

2,827.0

2,032.0

16,420.0

32,600.0




2025년 3월 둘째 주 LME 시세변동 이유 분석

2025년 3월 10일부터 14일까지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거래되는 주요 비철금속의 시세 변동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 기간 동안의 가격 변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경제 지표, 주요 금속 생산국의 상황, 수요와 공급의 변화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1. 글로벌 경제 지표와 통화 정책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3월 초에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하며 긴축적인 통화 정책을 유지했습니다. 이는 달러 강세를 초래하여 비철금속 가격에 하락 압력을 가했습니다. 또한, 유럽중앙은행(ECB)도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 인상을 단행하였으며, 이는 유로존의 경제 성장 둔화 우려를 낳았습니다. 이러한 글로벌 통화 정책 변화는 금속 수요 전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2. 중국의 경제 동향


중국은 세계 최대의 비철금속 소비국으로서, 그 경제 동향은 금속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3월 초 발표된 중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예상치를 하회하며 제조업 경기 둔화를 시사했습니다. 이는 비철금속 수요 감소 우려를 불러일으켜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또한, 중국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와 인프라 투자 축소는 금속 수요에 추가적인 부담을 주었습니다.


3. 주요 생산국의 공급 상황


칠레와 페루 등 주요 구리 생산국에서는 노동 분쟁과 환경 규제로 인한 생산 차질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구리 공급 감소 우려를 야기하여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한편, 인도네시아의 니켈 수출 제한 정책은 니켈 시장의 공급 부족을 심화시켜 가격 상승을 부추겼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공급 측면의 이슈는 글로벌 수요 둔화 우려에 의해 상쇄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4. 에너지 가격과 생산 비용


3월 초 국제 유가가 상승세를 보이며 에너지 비용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이는 비철금속 생산 비용을 증가시켜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알루미늄 생산은 전력 소비가 많아 에너지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따라서 에너지 가격 상승은 알루미늄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5. 투자 심리와 금융 시장 동향


3월 중순 글로벌 주식시장은 변동성이 확대되었으며, 이는 투자자들의 위험 회피 성향을 강화시켰습니다. 이에 따라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나타나면서 금속 시장에서의 투자 자금 유출이 발생했습니다. 특히, 헤지펀드와 같은 기관 투자자들의 포지션 조정은 금속 가격 변동성을 증가시켰습니다.


6. 재고 수준과 물류 이슈


LME 등록 창고의 비철금속 재고 수준은 시a장 수급 상황을 반영합니다. 3월 초 일부 금속의 재고 감소는 공급 부족 우려를 키워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그러나 글로벌 물류망의 회복과 해상 운임 안정화는 공급망 병목 현상을 완화시켜 가격 하락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2025년 3월 10일부터 14일까지의 LME 비철금속 시세 변동은 글로벌 경제 지표, 주요 생산국의 공급 상황, 에너지 가격, 투자 심리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특히, 글로벌 통화 정책 변화와 중국의 경제 둔화 우려는 수요 측면에서 가격 하락 압력으로 작용했으며, 주요 생산국의 공급 차질과 에너지 가격 상승은 공급 측면에서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이러한 상반된 요인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LME 비철금속 시세는 변동성을 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