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ME 비철금속 시세 분석:2025년 3월 셋째주 변동 요인 정리
안녕하세요, 철강 수출입 전문 업체 스틸토피아입니다!
오늘은 2025년 3월 셋째주 LME 국제 비철금속 시세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날짜 |
품목 (USD/ton) | |||||
구리 (Cu) |
알루미늄 (Al) |
아연 (Zn) |
납 (Pb) |
니켈 (Ni) |
주석 (Sn) | |
2025. 03. 21 |
9,829.0 |
2,652.0 |
2,906.5 |
2,020.0 |
15,915.0 |
34,785.0 |
2025. 03. 20 |
9,911.5 |
2,685.5 |
2,899.0 |
2,040.5 |
16,010.0 |
35,200.0 |
2025. 03. 19 |
9,914.0 |
2,687.0 |
2,915.5 |
2,081.0 |
16,350.0 |
35,100.0 |
2025. 03. 18 |
9,834.0 |
2,681.0 |
2,897.0 |
2,074.5 |
16,060.0 |
35,310.0 |
2025. 03. 17 |
9,748.0 |
2,715.0 |
2,948.5 |
2,075.0 |
16,310.0 |
35,210.0 |
2025.03.17~21 LME 시세 변동 이유
2025년 3월 17일부터 21일까지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거래되는 비철금속 시세는 여러 요인에 의해 변동을 보였습니다. 주요 금속별로 그 원인을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리(Copper)
3월 17일, 구리 선물 가격은 달러 약세와 중국 경제 지표 개선에 힘입어 작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2월 소매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했으며, 산업생산은 5.9% 늘어나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습니다. 이러한 중국 경제의 회복세가 구리 가격 상승을 뒷받침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알루미늄(Aluminum)
LME 알루미늄 재고는 3월 17일 기준으로 4,525톤 감소한 497,275톤으로 집계되어, 이는 작년 5월 이후 최저치입니다. 그러나 중국의 1~2월 알루미늄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재고 감소와 생산 증가라는 상반된 요인이 알루미늄 가격에 혼조세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니켈(Nickel)
니켈 시장에서는 공급 과잉과 실수요 회복 지연이 가격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미국의 관세 부과 가능성으로 스테인리스 수요 위축 우려가 제기되었으며, 인도 Jindal사의 판매 성장률이 하향 조정되고, Vale사의 2024년 4분기 니켈 생산이 전년 대비 1.3% 증가하는 등 공급 증가 요인이 니켈 가격에 하락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시장 전반의 영향 요인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2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2% 증가한 7,277억 달러로 집계되어 소비심리가 위축된 가운데서도 직전 월의 급락에서 어느 정도 회복된 것으로 평가됩니다. 또한,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최근 증시 약세와 관련해 "건강하고 정상적인 조정"이라며 "위기는 없을 것"이라고 언급하여 시장의 불안 심리를 완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2025년 3월 17일부터 21일까지 LME 비철금속 시세에 영향을 미쳤습니다.